워드프레스는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픈소스 블로그 플랫폼으로, 높은 자유도와 확장성을 제공한다. 특히 블로그 수익화를 고려한다면 워드프레스는 다양한 광고와 제휴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선택지이다. 본 글에서는 초보자도 따라 할 수 있는 워드프레스 설치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한다.
1. 도메인과 호스팅 준비
워드프레스 설치를 위해서는 먼저 도메인과 호스팅을 확보해야 한다.
- 도메인: 블로그의 주소 역할, 짧고 기억하기 쉬운 이름을 선택
- 호스팅: 워드프레스 호환성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업체 선택
호스팅 업체 대부분은 워드프레스 전용 호스팅 상품을 제공하며, 원클릭 설치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2. 호스팅 계정에서 워드프레스 설치
호스팅 서비스에 로그인하면 대시보드 또는 cPanel에서 워드프레스 설치 기능을 찾을 수 있다.
- Softaculous Apps Installer 또는 WordPress Manager 메뉴 선택
- 설치 경로: 루트 도메인(
https://내도메인.com
) 또는 하위 폴더(/blog
) 지정 - 관리자 계정 생성: 아이디, 비밀번호, 이메일 주소 입력
설치가 완료되면 관리자 로그인 주소(https://내도메인.com/wp-admin
)가 생성된다.

3. SSL 적용 및 보안 설정
워드프레스 설치 직후에는 반드시 **SSL 인증서(https)**를 적용해야 한다.
- 호스팅 대시보드에서 무료 Let’s Encrypt SSL 발급
- 워드프레스 관리자 → 설정 → 일반 → 사이트 주소를
https://
로 변경
이후 보안 플러그인(예: Wordfence, Limit Login Attempts)을 설치하여 계정 보호와 기본적인 해킹 방지 기능을 설정하는 것이 권장된다.
4. 워드프레스 기본 설정
설치 직후에는 사이트의 기본값을 조정해야 한다.
- 설정 → 일반: 사이트명, 태그라인, 시간대(Asia/Seoul)
- 설정 → 고유주소: “글 이름(post name)” 선택 → SEO 최적화에 필수
- 설정 → 토론: 댓글은 승인제로 설정 → 스팸 방지
- 설정 → 읽기: 검색 엔진 색인 허용
이러한 초기 설정은 애드센스 심사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5. 필수 플러그인 설치
워드프레스의 장점은 플러그인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는 점이다. 초기 단계에서 필요한 플러그인은 다음과 같다.
- SEO 플러그인: Rank Math 또는 Yoast SEO
- 캐시 플러그인: LiteSpeed Cache (속도 최적화)
- 백업 플러그인: UpdraftPlus (Google Drive 연동 권장)
- 스팸 방지: Akismet Anti-Spam
이들 플러그인은 사이트의 기본적인 운영 안정성과 검색 최적화에 필수적이다.
6. 테마 선택과 디자인
블로그의 첫인상은 디자인에서 결정된다. 가볍고 속도가 빠른 테마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GeneratePress: 경량, SEO 친화적
- Astra: 다양한 스타터 템플릿 제공
- Kadence: 블록 에디터와 높은 호환성
테마 적용 후 사용자 정의하기 메뉴에서 색상, 폰트, 레이아웃을 조정해 블로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한다.
본인이 선택한 테마는 Astra 였지만 추후 변경 하였다.
결론
워드프레스 설치 과정은 크게 도메인과 호스팅 준비 → 설치 진행 → SSL 적용 → 기본 설정 → 플러그인 설치 → 테마 적용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초보자도 단계별 가이드를 따르면 어렵지 않게 블로그를 시작할 수 있다.
특히 애드센스 승인과 장기적인 수익화를 고려한다면, 설치 직후부터 보안, SEO, 속도 최적화를 함께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블로그는 안정적 기반 위에서 성장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수익 창출로 이어질 수 있다.